jsp, java driver로딩 db연결분리 기존 jsp 파일 내에 있는 java 코드를 특정 패키지 내에 특정 클래스 내에 메서드를 선언하고 jsp에서 메서드 호출 후 리턴이 필요하면 리턴 받아 처리과정을 분리하는 과정을 이해 하고 응용 할 수 있다 insert, delete, update... 각 jsp 파일에 있던 1단계 : 드라이버 로딩 2단계 : DB연결 코드를 를 특정패키지내에 메서드를 선언하여 실행하자. 1) 패키지, 클래스, jsp 파일 생성 패키지명 : kr.or.ksmart.driverdb; 클래스명 : DriverDB DriverDB_driverDbcon. jsp 생성 2) java.sql 패키지내에 있는 connection 임포트 return 추가 (return null; ) 3)..
1. 객체실습. car 라는 객체는 연료량과 이동거리 정보를 담는 속성과, 대상을 이동을 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위의 설명대로 객체를 선언하고 콘솔에 출력하여라. 2. 함수실습. 아래의 설명대로 함수를 정의하고 실행하여 결괏물을 출력하도록 하여라. 1. getNumber : 리턴값 0 2. getStr = 리턴값 '' 3. getArray : [] 4. getObject : {} 3. 함수실습. strPlus 함수에 인수 '한국', '스마트 ', '000' 인수 3개를 넣어 실행하였다. 결괏값이 '한국스마트000' 이 나왔다. 함수를 정의하고 실행하여 위의 결과값이 나오도록하여라. 4. 함수실습. numMyArray 함수에 인수 10,20 인수 2개를 넣어 실행하였다. 결괏값이 [10,20] 이 나왔..
콜백함수 : - 이벤트 발동될 때 실행된다. - 비동기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체 코드를 읽은 다음 -> 내부의 특정코드 실행) - 함수를 인수로 삽입하여 그 함수를 저장했다가 이벤트 발동시 저장한함수를 실행한다. - 실행시 저장된 함수에 전달한 데이터를 인수에 삽입한다. 클로저 - 클로저는 반환된 내부함수가 자신이 선언됐을 때의 환경(Lexical environment)인 스코프를 기억하여 자신이 선언됐을 때의 환경(스코프) 밖에서 호출되어도 그 환경(스코프)에 접근할 수 있는 함수 (출처 : https://poiemaweb.com/js-closure) -즉, 함수는 주위의 환경을 기억하고 있다. 지역변수 n 이 리턴되서 넘어올 때 선언되었을 떄 범위의 환경( var n = n1 + n2 ) 을 기억하..
함수란? 메모리에 코드를 저장 할 수 있는 수단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이 가능하다. 함수는 선언 후에 호출이 되어야 저장된 코드가 실행된다. 함수에는 일반함수와 익명함수가 존재한다 함수의 선언 - function를 활용하여 선언한다. - 일반 함수 구문 : function 함수명 (){} - 익명 함수 구문 : function(){} - 익명 함수는 변수에 대입이 가능하다. - 일반 함수는 호이스팅 기술을 지원한다. - 호이스팅기술? 함수가 아래 선언되었더라도 상위에서 호출을 할 수 있다. - 익명함수 호출시에는 익명함수가 호출부 위에 선언이 되어 있어야한다. - 함수선언시 중괄호를 유효범위 혹은 스코프 라고 한다. - 함수에서는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차별이 확실히다. 일반함수 : 구..
상품목록과 회원목록을 이용하여 select 쿼리문 활용하기. 1. tb_goods 테이블 : g_price 컬럼은 int 로 바꿔주었다. 2. tb_member 테이블 : 조인 (INNER JOIN) : 이너조인은 기준 테이블과, 조인 테이블에 조인 컬럼에 해당하는 값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만 데이터가 조회된다. 조인방법: SELECT FROM INNER JOIN ON 조인 쿼리문 예시1 : SELECT tb_member.m_name, tb_goods.g_name FROM tb_goods INNER JOIN tb_member ON tb_goods.m_id = tb_member.m_id 조인 쿼리문 예시1 에 as 를 써서 테이블에 별칭을 붙여서 해보기 SELECT m.m_name, g.g_name FRO..
검색화면 1. msearch 폴더 안에 폼과 리스트 파일을 생성했다. 2. m_search_form.jsp 아이디, 권한, 이름, 이메일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sk, 검색란을 sv로 정의한다. m_search_list.jsp 를 import 시켜서 form 만 실행시켜도 값을 받아올 수 있다. 전체코드 : 아이디 권한 이름 이메일 실행화면 : 3. m_search_list.jsp 1. 드라이버를 로딩 2. db 연결 3. sk(아이디,권한,이름,이메일) sv(검색란) 에 따른 쿼리준비 4. select 쿼리 실행 5. 종료 sk(select) 와 sv(검색란)의 값을 받아온다.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String sk = request.getParam..
1. 수정화면 작성하기 - 단계마다 실행해서 오류가 없는지 확인 - 전체코드 작성 후 실행 x m_list.jsp 수정버튼에 m_update_form.jsp 링크 수정버튼 삭제버튼 수정버튼 수정 버튼을 눌렀을 때 수정 화면으로 넘어가게 되며, 해당 아이디의 값을 send_id라는 변수에 담아 url 경로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위의 코드에서 send_id가 m_update_form.jsp으로 넘어오는지 확인 콘솔창에서 확인 : 받아온 send_id 값을 이용하여 해당 아이디의 행을 조회 할 수 있다. m_id~ m_email에 담긴 값을 가져와야한다. 중괄호 블록 밖에서 선언된 변수는 안쪽에서 쓸 수 있고, 중괄호 블록 안에서 선언된 변수는 밖에서 쓸 수 없다. --> 1. 중괄호 밖에서 dbid ~ d..
계속 궁금하던... equals 와 == 의 차이점 eqauls 는 내용 자체를 비교하고 == 는 주소값을 비교한다. 출처 : equals와 ==의 차이점 (tistory.com) equals와 ==의 차이점 equals와 ==의 차이점 equals와 == 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이 둘은 모두 양 쪽에 있는 내용을 비교한 값을 boolean type으로 반환한다는 공통점을 가집니다. 하지만 차이점이 분명 존재 ojava.tistory.com
sql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관리 시스템 (relational DBMS)으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언어 데이터를 조작 (선택, 삽입 수정, 삭제) 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insert : 테이블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추가 select : 테이블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선택 delete : 테이블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삭제 update : 테이블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변경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 언어 create :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alter :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변경 drop :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삭제 DCL(Data control lan..
입력처리와 공통점, 차이점 1. mysql 드라이버 로딩 - 공통점 2. DB연결 - 공통점 3. select 쿼리 실행 준비 - 차이점 4. select 쿼리 실행 - 차이점 5. select 쿼리 실행 결과 사용( 전체회원리스트 출력) - 차이점 6. 객체 종료 - 공통점 3단계 select 쿼리 실행 준비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 from tb_member"); System.out.println(pstmt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