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객체실습. car 라는 객체는 연료량과 이동거리 정보를 담는 속성과,
대상을 이동을 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위의 설명대로 객체를 선언하고
콘솔에 출력하여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car = {
fuel : 11,
move : 0,
moveAction : function(){
}
}
console.log(car);
</script>
2. 함수실습. 아래의 설명대로 함수를 정의하고 실행하여 결괏물을 출력하도록 하여라.
1. getNumber : 리턴값 0
2. getStr = 리턴값 ''
3. getArray : []
4. getObject : {}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etNumber(){
return 0;
}
function getStr(){
return '';
}
function getArray(){
return [];
}
function getObject(){
return {};
}
console.log(getNumber());
console.log(getStr());
console.log(getArray());
console.log(getObject());
</script>
3. 함수실습. strPlus 함수에 인수 '한국', '스마트 ', '000' 인수 3개를 넣어 실행하였다.
결괏값이 '한국스마트000' 이 나왔다. 함수를 정의하고 실행하여 위의 결과값이 나오도록하여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strPlus(x, y, z){
return x+y+z;
}
console.log(strPlus('한국', '스마트', '000'));
</script>
4. 함수실습. numMyArray 함수에 인수 10,20 인수 2개를 넣어 실행하였다.
결괏값이 [10,20] 이 나왔다. 함수를 정의하고 실행하여 위의 결과값이 나오도록하여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numMyArray(x, y){
return [x, y];
}
console.log(numMyArray(10,20));
</script>
5. 객체실습. myFn함수 실행시 인수 [5,7,6,10,15,12] 배열을 삽입하여
실행하였더니 아래의 결괏값이 출력되었다. 함수 내부코드를 작성하여 아래의 결괏값이
나올수 있도록 하여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myFn(n1){
var obj = {
min : n1[0],
max : 0
}
for(var i=0; i<n1.length; i++){
if(n1[i] < obj.min){
n1[i] = obj.min;
}
if(obj.max < n1[i]){
n1[i] = obj.max;
}
}
return obj;
}
var result = myFn([5,7,6,10,15,12]);
console.log(result);
/*
위 함수의 실행의 리턴 결괏값
{
min : 5,
max : 15
}
*/
</script>
6. 객체실습. 최고의 점수를 받은 학생명을 출력하여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studentScore = [
{studentName : '홍길동', score : 65},
{studentName : '이순신', score : 75},
{studentName : '고길동', score : 83},
{studentName : '유관순', score : 67},
{studentName : '홍길순', score : 65}
];
var max = 0;
var smax = '';
for(var i=0; i<studentScore.length; i++){
if(studentScore[i].score > max){
max = studentScore[i].score;
smax = studentScore[i].studentName;
}
}
console.log(smax);
</script>
7. 아래코드를 보고 홍길동이란 문자열이 출력되도록 하여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myArray = [
{obj1 : function(){
return [
{arr : {
userName : '홍길동'
}
}
]
}
}
]
console.log(myArray[0].obj1()[0].arr.userName);
</script>
8. 함수, 객체실습. 아래의 호출 부분의 코드를 보고 선언부분을 작성하도록 하여라.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ksmart (){
return function (){
return {
userNameArray : ['이순신']
}
}
}
var result = ksmart()().userNameArray[0];
console.log(result, '결괏값-이순신');
</script>
'41기 개발자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007 객체 생성자 함수 (0) | 2021.10.07 |
---|---|
20211005 (0) | 2021.10.07 |
20211001 (0) | 2021.10.01 |
20210930 함수 (0) | 2021.09.30 |
20210929 상품관리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