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1기 개발자과정

20220111 RESTful

segment 2022. 1. 11. 09:51

■ RESTful 이란?

-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REST API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데이터와 기능의 집합을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서로 정보를 교환가능 하도록 하는 것

 

REST API의 정의
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

 

 

 

■ REST 구성 요소


1. 자원(Resource): URI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에 존재한다.
자원을 구별하는 ID는 ‘/groups/:group_id’와 같은 HTTP URI 다.
Client는 URI를 이용해서 자원을 지정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한다.


2. 행위(Verb): HTTP Method
HTTP 프로토콜의 Method를 사용한다.
HTTP 프로토콜은 GET, POST, PUT, DELETE 와 같은 메서드를 제공한다.


3. 표현(Representation of Resource)
Client가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요청하면 Server는 이에 적절한 응답(Representation)을 보낸다.
REST에서 하나의 자원은 JSON, XML, TEXT, RSS 등 여러 형태의 Representation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JSON 혹은 XML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REST API 가이드

1.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UT, POST, DELETE 등)로 표현한다

-URI에 HTTP Method가 들어가면 안된다.
- URI에 행위에 대한 동사 표현이 들어가면 안된다.(즉, CRUD 기능을 나타내는 것은 URI에 사용하지 않는다.)
- 경로 부분 중 변하는 부분은 유일한 값으로 대체한다.(즉, :id는 하나의 특정 resource를 나타내는 고유값이다.)

 

 

 

예시

 

 

 


 

출처 : 
https://gmlwjd9405.github.io/2018/09/21/rest-and-restful.html

 

[Network] REST란? REST API란? RESTful이란? - Heee's Development Blog

Step by step goes a long way.

gmlwjd9405.github.io

Chapter16. 스프링 MVC로 REST API 사용하기 · Spring Study Group (gitbooks.io)

'41기 개발자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111 el표기법, JSTL  (0) 2022.01.11
20220111 EL  (0) 2022.01.11
20220104 인터셉터  (0) 2022.01.05
20211228 깃  (0) 2021.12.28
20211222 프로그램, 프로세스, 스레드  (0) 2021.12.2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